황인찬, 구관조 씻기기(민음사, 2012) 읽다.



낯설게 보기, 사물과 나와의 거리감

 

시를 읽는 것도 어렵지만 시집을 고르는 것도 만만찮다.

문학 잡지를 꼬박이 읽는 사람이라면 시집을 선별할 혜안도 있을 게다. 하지만 나는 아니잖은가. 그래서 대게는 유명한 시인의 시집을 사서 읽는다. 안전하다. 하지만 안전할 뿐이다.

깜짝 놀랄 만큼 좋은 시집을 읽은 적이 요샌 드물다. 생각해 보니 좋았던 시집은 대개 그 시인의 처녀작들이 수록된 첫 번째 것들이다. 황지우, 장정일, 김용택, 나희덕, 이성복, 곽재구의 가장 좋은 시집은 그들의 첫 번째 것들이다. 그래, 첫 번째 시집을 골라 읽는 거다.

 

이건 또 누구의 중얼거림인가 (물의 에튜드)

실내의 가짜 꽃나무 아래 내가 앉아서 거리를 헤매는 나를 불렀다 (소용돌이 치는 부분)

이후로도 나는 드문드문 나에게 나타났다 (소용돌이 치는 부분)

떠난 적도 없는데 왼쪽이 돌아왔다 (너와 함께)

 

황인찬의 첫 시집 구관조 씻기기2012 김수영 문학상 수상작이다.

김수영 하면 , 폭포, 등의 참여시를 떠올리기 쉽다. 하지만 선명하고 견고한 이미지나 날카롭고 예리한 언어들과 그 언어들의 변용을 기대하고 김수영을 읽는다면 당혹할 것이다. 김수영의 시는 무척 관념적이며 난해하다. 그러니까 김수영은 두 개다. 은유로 무장한 참여시 계열의 김수영과 위악과 자기 연민으로 고뇌하는 김수영.

왜 김수영을 언급했냐 하면, 황인찬의 시가 그 어떤 측면에서 김수영과 닮았기 때문이다. 내면 세계의 분리와 그 분열에서 비롯한 자의식의 흔들림, 그런 것들이.

당혹스럽다.

 

때로 그것은 환영으로, 혹은 환청으로 감각을 교란한다. 아니 교란당한 감각이 환영으로 나타나는 것일까. 이유야 어찌 되었든 간에 황인찬의 시는 섬망(delirium : 외계에 대한 의식이 흐려지고 착각/망상, 흥분/불안, 비애/고민 등의 의식 장애를 일으키는 것)과 망상의 추에서 불안한 흔들림을 보이고 있다.

이 흔들림을 예의주시하며 시집의 발문을 다시 본다.


自序

 

나무는 서 있는데 나무의 그림자가 떨고 있었다

예감과 혼란 속에서 그랬다

 

그렇다면 이 떨림/흔들림/불안함/혼돈/불명확/불투명은 어디에서 기인한 것일까.

 

건조과

 

말린 과일에서 향기가 난다 책상 아래에 말린 과일이 있다 책상 아래에서 향기가 난다

 

나는 말린 과일을 주워 든다 말린 과일은 살찐 과일보다 가볍군 말린 과일은 미래의 과일이다

 

말린 과일의 표면이 쪼글쪼글하다

 

말린 과일은 당도가 높고, 식재료나 간식으로 사용된다 나는 말린 과일로 차를 끓인다

 

말린 과일은 뜨거운 물속에서도 말린 과일로 남는다

실내에서 향기가 난다

 

위는 이 시집의 첫 번째 시다.

시인은 말린 과일을 보고 있다. 아니 말린 과일이 내는 향기를 맡고 있다. 아니 책상 아래에서 향기가 나는 것을 보고 말린 과일을 짐작한다. 그리고 말린 과일이 말리지 않은 과일보다 가볍다는 것을 안다. 말린 과일로 차를 끓이니 실내에서 말린 과일의 향기가 난다.

황인찬은 세계를 조망한다.

대상은 거기 존재하는 것이며 시인은 존재하는 대상을 관찰할 뿐이다. 대상과 시인 사이에는 존재와 존재만큼의 거리가 있다. 시인은 그 거리감을 좁히려는 여하한 노력도 하지 않는다. 이 거리감은 이 시집의 1부 전체를 관통하는 시의 축이다. 거리감은 관조를 주조한다. 그러므로 시는 어떠한 감정의 낭비도 허락하지 않는다.

 

한편 시인이 스케치한 조감도의 대상은 그의 감각에 감지된 세계뿐만이 아니다.

그렇다. 앞서 분열되고 흔들리는 자의식은 바로 이 지점에서 발생한다. 세계를 바라보는 저 견고한 거리감은 자신의 내면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스스로를 낯설게 보기. 나와 나 사이의 거리감. 시인의 섬망과 망상의 불안한 떨림은 여기에서 시작된 것이 아닐까.

 

Posted by 가림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