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희덕, 사라진 손바닥(문학과 지성, 2004) 읽다.

 

숨어서 피는 꽃, 모순형용의 거리.

 

나희덕의 다섯 번째 시집, 사라진 손바닥을 편히 읽는다.

시가 통시적으로 변모되는 시인이 있는가 하면, 어디를 펼쳐 놓아도 그만의 지문이 묻어 나는 시인이 있다. 글에도 지문이 있을까. 있다. 나희덕은 후자다. 나희덕이 지문이 빤질빤질해진 시집을 읽는다. 나희덕의 어디를 펼쳐 놓아도 나희덕은 나희덕의 것이다. 나희덕의 시가 응시하는 것, 그리고 그것을 바라보는 태도는 늘 동일하다. 일전에 나는 나희덕을 상처받은 존재를 감싸안는 넉넉한 모성애로 규정한 바 있다. [해설을 쓴, 김진수는 나희덕의 시가 주체적인 감각적 이미지의 현실성에 기초한 간명하고도 절제된 언어적 형식이며 나희덕의 응시는 이른바 대립적 이미지의 대위법적 구성을 바탕으로 한 이 시적 대상에 대한 따뜻한 시선(조응)’이라고 표현했다. - 직조술로서의 시학중에서. 같은 얘기다.]

이번 시집의 표제작 사라진 손바닥는 가슴에 납덩이를 단, 아픈 존재의 대유다. ‘마른 손목마저 꺾인 채 거꾸로 처박, ‘수많은 을 가슴에 꽂고가라앉은 연꽃은 이 땅의 모든 쓸쓸한 것들에 대한 은유다. 그것은 잊혀진 여거나, ‘굽은 손등 말고는 제 몸을 보여 주지 않는 초승달이거나, ‘온갖 벌레들에게 그녀의 젖을 오글오글 빨리는, 그래서 소신공양으로 엎드린 늙은 호박이거나, 혹은 젖은 과일을 닦느라 수그린 (노점의) 할머니이거나, ‘몽당손으로 그물을 잡고 둘러선 소년들두 다리가 없는 어머니들이다. 산다는 것은 부대낀다는 것. 가난한 자가 산다는 것은 한 끼의 끼니를 걱정하며 신음소리를 낸다는 것. 이 땅의 가난한 자의 삶은 꽃 피우기도 전에 잘려진 꽃대들의 비명소리이다. 그러므로 한 덩이의 밥은 숭고하며 신성하다. ..하며 신..하다.

 

조금 전까지 거리에서 광고지를 나누어주던 손

버려지기 위해 쌓인 광고지와 / 그것을 다 버려야만 밥을 벌 수 있는 손

그 손이 하염없이 먹고 있는 / 한 그릇 맨 밥

­ 흰 구름

배가 고팠다.

죽음의 소식을 듣고 가장 먼저 느낀 것이 시장기라니,

불경스럽다는 생각에도 불구하고 배가 고팠다.

­ 국밥 한 그릇

 

그래서일까. 시인은 결핍 / 부재 / 결여 / 망각 / 버려진 존재들 사이를 지나로라면 정상적인 몸으로 사는 일 자체가 일종의 과속이라는 죄책감에 마주 선다. ‘회초리처럼 아프게 등짝을 내치는 그네의 삶에 목구멍이 막힌다. 이 아픔의 진실성은 시인 역시 동일한 종류의 아픔에 부대꼈음에 기초한다. 등가의 고통을 가졌으나 현재는 그 아픔으로부터 탈출한 자만의, 변론할 수 없는 죄책감. 공유된 고통의 체험이 시인에게 모순형용을 느끼게 한다. 시인이 상처받은 존재들에게 보내는 따뜻한 시선은, 그러니까, 결국은 자기애의 이음동의어다.

살아야겠음. 살아야함의 그 처절한 몸부림은 꽃이 된다. ‘온몸이 뿌리로만 이루어진, 꽃조차 숨은 뿌리인땅 속에서만 꽃을 피우는 난초처럼. 아니, 애초에 그 꽃은 땅 위로 모습을 드러내는 일이 없기 때문에본 사람이 드물 뿐. 우리가 목격하지 않았다 해서 꽃의 실체를 부정해서는 안 된다. 숨어서 피는 꽃을 볼 수 있는가. 그렇기 때문에 나희덕의 시다운 것의 포착, 그것에 나는 감동한다. 꽃의 아름다움과 숨어서 피어야 하는 그 냉혹하고 절망적인 거리감. 그 모순형용을 느낀다.


- 2011.03.08일에 쓴 것, 옮겨 적음.



Posted by 가림토..
,